개발후기 5

[트러블 슈팅] 푸드코트 키오스크 만들기 프로젝트 리뷰

푸드코트 키오스크 만들기 간단한 프로젝트 설명과 트러블 슈팅 과정 🧾 프로젝트 설명 식당 이름을 검색하거나, 음식 종류 카테고리를 골라 필터링이 가능한 키오스크를 구현했다. ✅ 메뉴 목록을 조회할 수 있고(GET), 주문을 생성하는(POST) API를 제공하는 express 서버를 구축했다. ✅ 메뉴를 선택하면 점심 바구니에 담긴다. ✅ 합계 금액이 적힌 주문 버튼을 누르면 영수증이 출력된다. 📌 express 서버 구축 애초에 서버를 전혀 모르기 때문에 나에겐 쉽지 않은 도전이었다. express 강의를 듣고 정리해둔 노트를 참고했다. post로 주문 생성하기 app.post('/orders', (req, res) => { const { menu, totalPrice } = req.body; cons..

개발/React 2023.04.04

[원티드 프리온보딩 프론트엔드 인턴십] Week 4 과제 후기

Week 4 과제 후기 드디어 마지막 4주차 과제가 끝났다. 마지막 주차라 여러가지 일정이 겹쳐서 과제를 할 시간이 적었다. 화-금 강의가 월-금에 진행되었고, 그 사이에 2차례에 걸친 취업 설명회와 이력서 특강이 있었다. 아마도 그 다음주가 설 연휴라 일정이 앞당겨 진 것으로 안다. 나는 개인적으로 프리온보딩 프론트엔드 챌린지 1월 코스도 듣고 있었기 때문에 화-금 날에는 하루에 8시간 가까이 강의를 듣는 일정이 좀 버겁기도 했다. 마지막이라 그동안의 피로가 누적되기도 했고, 그래서 조금은 아쉬웠지만 그나마 차선책의 방법으로 마무리한 이번 과제를 회고해 본다. 과제 내용 4주차 과제는 API 서버와 통신해서 작동하는 댓글 프로젝트를 Redux를 통해 구현하는 것이었다. 참고용 레파지토리를 Fork해서 ..

[원티드 프리온보딩 프론트엔드 인턴십] Week 3 과제 후기

Week 3 과제 후기 3주차 과제는 2주차 과제보다 간단했지만,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깊이가 필요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지난 주 과제보다 만족스럽게 진행됐다. 어떤 점이 마음에 들었는지, 진행이 어떻게 되었는지 회고를 적어보려 한다. 과제 내용 한국임상정보 사이트의 검색영역을 클론하는 것이 이번 3주차의 과제였다. 검색창 및 검색어 추천 기능을 구현해야 했다. 이번 과제는 리드미에 필수로 들어가야 하는 내용도 정해져 있어서, 리드미에도 더 신경을 썼다. 과제 진행 방식 1. 개인별 구현 수요일 밤까지 각자 구현을 해보기로 계획을 정했다. 지난 주에는 날짜에 관해 별 계획을 세우지 않아서 힘들었기 때문에 이번엔 다같이 정하고 넘어갔다. 약속된 시간에 나는 몇 가지 기능이 빠져있는 상태였고, 그 외의 ..

[원티드 프리온보딩 프론트엔드 인턴십] Week 2 과제 후기

Week 2 과제 후기 교육 코스는 3주차로 되어 있는데, 과제는 2주차로 적혀 있어서 일단 표기된 대로 주차를 적어 두었다. 2주차 과제 내용과 우리 팀의 과제 진행 방법 등의 회고를 해보려고 한다. 우리 팀은 인원 변동이 조금 있었다. 지난 주차에 2명, 이번 주차에 1명이 팀을 나가게 되어 총 5명의 인원이 됐다. 과제 내용 트렐로, 지라 등과 비슷한 이슈 트래킹 툴을 만드는 것이 2주차의 기업과제였다. 각자 스스로 만들어 보고, 베스트 프랙티스를 팀원들과 논의해 팀 과제를 제출하는 것이 미션이었다. 과제 진행 방식 1. 개인별 구현 팀별 미션을 진행하기에 앞서, 우선은 개인적으로 각자 구현을 해보기로 했다. 과제 내용 중에서 어려운 점이 몇가지 있었는데, 팀원들과 얘기를 나눠보니 모두가 같은 부분..

[원티드 프리온보딩 프론트엔드 인턴십] Week 1 과제 후기

Week 1 과제 후기 나는 멘토링을 받으며 주로 혼자 학습해왔는데, 프리온보딩 코스에서 처음으로 2명이 넘는 인원의 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1주차 과제 내용과 우리 팀이 과제를 어떻게 진행했는지, 팀 프로젝트를 하며 어떤 점이 어려웠는지를 적어보려고 한다. 과제 내용 프리온보딩 코스를 신청할 때 사전과제로 제출했던 투두리스트를 바탕으로, 팀원들과 토론하고 best practice를 만드는 것이 첫 번째 과제였다. 처음에는 어떤 식으로 진행해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아서 막막했다. 팀원들과 본격적으로 회의를 하기 전에 출제자의 의도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았다. 멘토님이 강의에서 강조해 얘기하셨듯이, 동료학습을 해보라는 목적에서 이런 과제를 내주셨다고 판단했다. 과제 진행 방식 1. 환경 구축 우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