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50

[원티드 프리온보딩 프론트엔드 인턴십] Week 1 과제 후기

Week 1 과제 후기 나는 멘토링을 받으며 주로 혼자 학습해왔는데, 프리온보딩 코스에서 처음으로 2명이 넘는 인원의 팀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1주차 과제 내용과 우리 팀이 과제를 어떻게 진행했는지, 팀 프로젝트를 하며 어떤 점이 어려웠는지를 적어보려고 한다. 과제 내용 프리온보딩 코스를 신청할 때 사전과제로 제출했던 투두리스트를 바탕으로, 팀원들과 토론하고 best practice를 만드는 것이 첫 번째 과제였다. 처음에는 어떤 식으로 진행해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아서 막막했다. 팀원들과 본격적으로 회의를 하기 전에 출제자의 의도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았다. 멘토님이 강의에서 강조해 얘기하셨듯이, 동료학습을 해보라는 목적에서 이런 과제를 내주셨다고 판단했다. 과제 진행 방식 1. 환경 구축 우선 ..

[원티드 프리온보딩 프론트엔드 인턴십] Week 1-2.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통합하고 배포하는 법 - 강의 후기

Week 1-2.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통합하고 배포하는 법 AWS / AWS S3 / CRA / CI/CD / GitHub Actions 두번째 강의 시간에는 CI/CD에 대해 배웠다. CI/CD라는 용어 자체도 낯설고 개념이 와닿지 않았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대략적으로 어떤 것이구나 하는 감을 잡게 되었다. 코드 테스트와 배포를 자동화 해서, 빠르고 자주 배포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라고 이해했다. 실습 과정도 자세하게 차근차근 알려주셨는데 직접 따라해 보면서 익히면 될 것 같다. 취업하기 전에 이런 개념들과 방법을 알고 있으면 회사에서 협업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거라 생각한다. 1. 서버와 클라우드 컴퓨팅 그리고 AWS 서버란 무엇일까? IT 업계에서 서버란, ‘무언가를 제공해주는 컴퓨터’ 서버는..

[원티드 프리온보딩 프론트엔드 인턴십] Week 1-1. 개발자의 기본기 - 강의 후기

Week 1-1. 과제를 하기에 앞서 알아야 할 팀으로 일하는 법, 개발자의 기본기 Git & GitHub / ESLint / Prettier / husky / Git hook 전날 오리엔테이션을 마치고 오늘 본격적인 강의가 시작되었다. 어디가서 쉽게 배우기 힘든 양질의 강의여서 신청하길 정말 잘했다고 생각했다. 3시간의 강의라 막판에는 조금 집중력이 떨어져서, 이해가 덜 된 부분은 복습 영상을 봐야겠다. 황연욱 멘토님께서 강의 내용은 블로그에 출처를 밝히고 올려도 좋다고 하셨기 때문에, 강의에서 새로 배운 내용을 기록하려 한다. 주니어의 역량 💡 기업은 주니어 개발자를 볼 때 성장가능성을 본다. 주니어는 문제해결 방법을 통해 자신의 성장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다. 손코딩, 화이트보드 코딩 등의 방법으로 ..

[원티드 프리온보딩 프론트엔드 인턴십] 합격 발표

프리온보딩 인턴십을 신청하고서 조금 떨렸다. 공고를 늦게 봐서 마감 날짜가 얼마 남지 않았었고, 급하게 과제와 에세이를 준비하다 보니 부족한게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코로나 격리 해제된지 며칠 안 되서 컨디션도 100%가 아니었다. 그래서 설마 떨어지겠냐는 생각 반, 떨어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 반이었다. 결과 발표가 12시였는데 연락이 없어서 설마 불합격인가 싶었지만 1시쯤 합격 문자가 왔다.(불안함 속의 1시간이었다.) 등록 설문 작성과 필요 서류 제출을 마치고 디스코드에 가입했다. 디코는 게임할 때 주로 쓰는걸로 알고 있었는데 직접 사용해보니 생각보다 어려웠다. 다크모드 슬랙 같기도 하고.. 설문은 공부를 어떻게 해왔는지와 공부를 하면서 겪었던 어려움 등을 적게 되어있었는데 그동안의 공부 발자취를 돌..

[원티드 프리온보딩 프론트엔드 인턴십] 참가 에세이 - 오신정

1. 최종합격까지 몇 개 이상의 이력서 작성이 필요할까요?(힌트! ‘참가비’ 항목에서 완주 조건 확인) 프리온보딩 인턴십 코스를 완주하기 위한 세가지의 조건 중, '총 20개 이상의 기업에 지원'해야 하는 항목이 있다. 그렇기에 최종합격까지 총 20개 이상의 이력서 작성이 필요하다. 코로나가 처음 시작되고 그나마 있던 취업문들이 죄다 막혀버린 2020년을 문과출신 신입 취준생으로 보낸 경험이 있기에, 이력서를 낼 곳이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안도하게 되는 지금이 다행이라고 느껴진다. 합격을 하고 회사에서 한 명분의 일을 해내는 것은 스스로에게 달린 일이지만, 취업 기회가 없다는 현실에서 오는 절망감이 얼마나 큰지 알기에 이번 인턴십이 동기부여가 될 것 같다. 2. 프리온보딩 인턴십에서 숏에세이 작성제도를..